반도체 설계, 검증 분야로 대한민국은 꽤 괜찮은 국가이긴 하지만…
상위 몇 개의 기업 외에는 어떻게 버티고 있는걸까? 싶은 기업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반도체 산업에서 설계 및 검증 엔지니어로 일할 수 있는 주요 국가들을 살펴보고, 각국의 산업 특성과 기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Made by Chat GPT사전적 의미에서 “대기업은 자산 10조원”이지만, 이러한 사전적 정의가 정해진지 너무 오래되었고,
최근 미국 빅테크 기업은 시가총액 5,000조원을 바라보고 있으므로,
제가 이 글에서 말하는 대기업은 시가총액 100조원 이상 기업을 대기업으로 칭하겠습니다.
마이핀플
Tier 0: 글로벌 주요 대기업 다수 보유
Made by ChatGPT미국 (United States)
특징: 실리콘 밸리와 주요 기술 도시, 다수의 반도체 설계 및 제조 대기업.
주요 기업: Intel, AMD, NVIDIA, Qualcomm, Broadcom, Texas Instruments, Micron Technology, Synopsys, Cadence, …
주요 언어: 영어
그냥 반도체 어떤 분야를 하든 다 있음.
Tier 1: 글로벌 주요 대기업 다수 보유
대만 (Taiwan)
특징: TSMC 등 세계 최대의 반도체 제조업체 보유.
주요 기업: TSMC, MediaTek
주요 언어: 중국어(대만 방언)
대한민국 (South Korea)
특징: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반도체 선두국가. tsmc 다음 가는 Foundry도 보유하고 있고, 이 생태계를 기반으로 System LSI 사업부도 있고.
주요 기업: Samsung Electronics, SK Hynix
주요 언어: 한국어
Tier 2: 1~2개의 글로벌 수준 대기업 보유 or 많은 빅테크 브랜치 보유
인도 (India)
특징: 벵갈루루의 글로벌 반도체 R&D 센터가 엄청난 인력을 갖고 있음. 최근엔 정부 주도로 파운드리 건립도 논의 중.. 인도의 판교 정도가 “뱅갈루루”인데, 엄청나게 큰 도시임. 인구수 1000만을 넘고, 이런 IT 도시가 인도에 더 있다.
주요 기업: Wipro, Tata (반도체 R&D), 미국 반도체 설계회사의 R&D센터
주요 언어: 영어
이스라엘 (Israel)
특징: 기술 스타트업과 글로벌 기업의 R&D 센터 (예: 인텔)도 갖고있고, 꽤 오래된 파운드리도 갖고있음.
주요 기업: Apple, nVIDIA Intel (R&D 센터), Tower Semiconductor (100조원은 안되지만), 멜라녹스
주요 언어: 히브리어, 영어
싱가포르 (Singapore)
특징: 아시아의 기술 중심지,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지역 본사. 아시아 탑 수준의 연구기술을 가진 대학교들. 제가 살고싶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주요 기업: Broadcom (본사), 미디어텍
주요 언어: 영어, 중국어
네덜란드 (Netherlands)
특징: ASML 본사, 반도체 장비 기술의 중심지.
주요 기업: ASML
주요 언어: 네덜란드어, 영어
일본 (Japan)
특징: 오랜 전통의 전자 및 반도체 설계 기술.
주요 기업: Sony Semiconductor, Renesas Electronics
주요 언어: 일본어
영국 (United Kingdom)
특징: ARM 등 주요 반도체 설계 회사.
주요 기업: ARM Holdings, Imagination Technologies
주요 언어: 영어
독일 (Germany)
특징: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 본사 등 유럽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
주요 기업: Infineon Technologies, SIEMENS
주요 언어: 독일어, 영어
캐나다 (Canada)
특징: 성장 중인 R&D와 제조업 기술 산업들이 있지만 100조원을 넘는 회사는 없는듯? Teledyne DALSA, Alphawave IP 등등….
주요 기업: 미국의 반도체 회사 R&D 센터들이 존재함.
주요 언어: 영어, 프랑스어
Tier 3: 100조원 이상 대기업은 없으나 주요 R&D 센터 보유
이 국가들부터는 사진을 굳이 넣지 않겠습니다.
스위스 (Switzerland) / 프랑스 (France) / 이탈리아 (Italy)
특징: 기술 혁신 및 첨단 산업 연구의 중심.
주요 기업: STMicroelectronics (공동 본사)
주요 언어: 스위스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벨기에 (Belgium)
특징: 첨단 반도체 연구 및 기술 혁신의 중심지. 유럽에서 중요한 반도체 연구기관이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R&D 센터가 운영되고 있음.
주요 기업: imec (세계적인 나노전자 및 디지털 기술 연구소), Melexis (반도체 설계 및 제조)
주요 언어: 영어, 프랑스어어
핀란드 (Finland)
특징: R&D와 기술 혁신의 중심.
주요 기업: Nokia (반도체 설계 및 R&D)
주요 언어: 핀란드어, 영어
아일랜드 (Ireland)
특징: R&D 중심. 꽤 실력있는 중역들이 많이 있음. 왜 그런지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고수들이 꽤 있더라.
주요 기업: Qualcomm, Synopsys
주요 언어: 영어
스웨덴 (Sweden)
특징: 반도체 설계 및 전자 제품 기술 발달.
주요 기업: Ericsson (반도체 관련 연구 포함)
주요 언어: 스웨덴어, 영어
베트남 (Vietnam)
특징: 기술 산업의 빠른 성장, 반도체 제조 증가. 높은 비율의 젊은 인구. 총 인구수는 1억명
주요 기업: FPT Semiconductor, Samsung (생산 공장), Synopsys, Cadence
주요 언어: 베트남어, 영어
말레이시아 (Malaysia)
특징: 주요 반도체 제조 및 조립 허브에서 글로벌 리서치센터로 변모 중
주요 기업: Inari Amertron, Unisem, Infineon (생산 시설), intel
주요 언어: 말레이어, 영어
내가 본 각국 엔지니어들의 커리어 방향:
해시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