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

2020년 애플에서 자체 SoC로 개발한 M1 Chip을 탑재한 맥 제품들을 발표했습니다.

제가 느낀 기존 제품과 다른 점이… 빠르고! 오래가고! 가볍다!라는 장점이 있는데, 단점으로는 맥북을 받고나서는 사용자가 메모리 추가를 못한다는 점이에요.

SoC는 System on Chip입니다. 한 칩에 다 올려!

  • 우리가 사용한 기존의 PC, 노트북은 Non SoC입니다. 우리가 PC를 살 때에는 CPU 고르고, RAM 고르고, SSD 골라서 조립을 했죠!

  • SoC는~ 이런 것들(제어장치, 연산장치 등)을 한 칩에 구성한거에요. 그래서 전체 크기가 더 작아지고, 이동 거리가 짧아지니 더 빨라지고 전력 효율도 좋아졌어요.

  • SoC가 Non SoC보다 빠르고, 전력 효율이 좋고, 가볍다는 장점들 때문에 애플을 시작으로 반도체 시장 전체가 SoC로 가고 있어요.

  • NoC는 SoC의 일종입니다. 디지털 회로에서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길이 필요한데, 이를 BUS라고 합니다. 칩이 집적화된 SoC의 경우에는, BUS 병목현상이 일어납니다. 컴퓨터의 네트워크인 인터넷처럼, 칩내 모듈마다 라우터를 달아주고, 각 라우터들이 연결된 형태로 칩이 만들어집니다. SoC에도 저전력이 중요하지만, NoC에서는 더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입니다.

SoC 안에는 다양한 전자회로로 구성되요. “입력 2개 모두 1이 들어올 때에만 출력에 1을 보내줘. “ 이런 기능을 만들고싶다면, SoC 안에 그런 논리회로가 구현되어야 작동을 합니다.

이런 SoC를 만들 때는 현대에 가장 핫한 두가지 방법이 있어요. FPGA와 ASIC입니다.

M2

FPGA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입니다. 계속 칩의 기능을 바꿀 수 있는 칩!

  • FPGA에는 다양한 회로들이 빽빽하게 들어가있어요. 우리가 프로그래밍해서 칩에 넣어주면, 그 프로그램대로 칩의 내부가 변경됩니다.

  • FPGA는 비싸요. 수정이 자주 필요한 작업에 적합하기 때문에 신기술이 필요한 분야에 많이 쓰여요. (AI, 방산, 우주산업 등)

M3

ASIC은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요. 맞춤형으로 쓸 수 있는 주문형 반도체입니다.

ASIC은 우리가 원하는 소자와 기능만 담아서 만든 Chip이에요.

  • ASIC은 FPGA보다 싸고, 빠르고, 전력 효율이 더 좋아요.

  • ASIC은 chip이 완성되면 수정이 힘들어요. 그래서 ASIC을 만들 때에는 철저하게 검증을 해야해요. 즉, 초기비용이 많이 들어요.

  • 기존에는 cpu회사, D램 회사, SSD 회사, 통신 회사가 다 분리되어있는데, 이런 ASIC Chip을 만들려면, 모든 회사의 기술력과 기술 인력이 한 곳에 집중 되어야한다. (그래서 돈 많은 애플이 PC시장에 SoC를 시작 할 수 있었던거구요. 전문가들은 한국도 회사들이 M&A를 통해 통일된 ASIC 회사로 발전해야한다고 말하고있습니다.)

Full custom ASIC, 완전 주문형 반도체는 이 Chip 내부 회로(cell과 gate라고 불리는 논리 소자들) 다 최적화를 한 ASIC입니다. Semicustom ASIC은 내부 최적화는 안된거에요!

여기까지가 최근에 가장 핫한 내용인 FPGA와 ASIC이고, 아래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많이 쓰이는 반도체에 대해서 이야기할거에요.

M1 SoC

ASIC처럼 Chip 내부에 회로는 완성되어있지만, 다양한 상황 및 기능에 쓰이는 반도체는 ‘범용 반도체’라고 불려요.

범용 반도체는 완전 범용과 부분 범용 반도체로 나눠져요.

범용 반도체는 General Purpose IC에요.

밥솥의 연산제어장치(MCU)는 세탁기나 에어컨에도 쓰일 수 있어요. 가전제품 만드는 회사는 ‘세탁기용 제어장치, 에어컨용 제어장치’ 이런식으로 따로 설계 할 필요 없이, 시중에 파는 MCU를 사와서 쓰면 됩니다.

ASSP는 Application Speccific Standard Product에요. (국내에선 특별용도 반도체라고 불려요.) ASSP는 ASIC을 표준화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ASSP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를 들겠습니다.

디지털은 1과 0으로 표현되는데요. 우리가 듣는 음악의 mp3파일은 1과 0의 조합을 압축한 형태에요. 1이나 0이 들어올 수 있는 한 칸의 크기를 1비트라고 하는데, 128kbps음악의 경우엔 1초당 100만 비트 이상의 정보가 들어오게됩니다. 이 디지털 값을 아날로그 형태로 바꿔주는걸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라는 회로가 해요. 이 DAC는 스마트폰에도, 컴퓨터에도, 태블릿에도 들어가요. 스마트폰 속 5G 통신 칩도 ASSP의 좋은 예입니다.

  • 표준화된 형식을 처리하는 표준화된 반도체

  • 표준화되어 범용 반도체처럼 다양한 곳에 쓰이긴 하지만, 범용 반도체는 mp3파일처럼 표준화된 형태가 없습니다.

특징만 정리하면,

FPGA - 계속 프로그래밍 수정이 가능하다. 비교적 느리고 전력이 더 들고, 비싸다.

ASIC (주문형 반도체) - 가장 효율적이고 (빠르고 가볍고 저전력) 대량생산시 저렴하다. 초기비용이 많이 든다.

General Purpose IC (범용 반도체) - 이곳 저곳에 쓸 수 있다. 초고성능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안 씀.

ASSP (특별용도 반도체) - 표준화를 해서 이곳 저곳에 쓸 수 있게 만들었다.